일본의 로스팅 예>
초기화력 설정(로스터 용량의 2/3생두를 넣어 15분에 2차 크랙까지 간 화력)
생두투입 : 최초 1분정도 탬퍼 오픈(먼지제거 등)
댐퍼를 점점 닫음
8-10분 경과후 화력 다운 시키고 댐퍼 조금 오픈 -- 1차 크랙
1차 크랙 후 화력을 올리면 맛, 밸런스 붕괴, 반열풍식 경우 연기가 안나오는게 좋음
2-4분 후 2차 크랙 : 댐퍼는 중간보다 더 오픈, 화력 다운
이후 댐퍼 완전 오픈.
냉각 후 기계 50도 이하때까지 가동(조기오프금지)
저렴한 가격 17000원 (1컵), 21000(3컵)
비알레띠 모카포트와 비교하면 50%이상 싼가격이다.
그렇다고 마구 저렴한 티가 나는 것도 아니고...추출이 잘 안되는 것도 아니다.
저렴한 가격에 잘 샀다는 생각이 든다.
적은 용량의 모카포트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일반 가스레인지에 올려놓을 수 없다. 그래서 사발이(??, 5000원)를 같이 구매하거나 천원샵에서 비슷한 것을 구입해야 한다.
모카포트를 구입할 때 가장 궁금한 것은 '1컵 뽑을 때 원두가 얼마나 들어가는가', '1컵은 양이 얼마나 되는가', '모카포트 브랜드에 따라 다른점은 무엇인가' 이다.
아는 것만 적어보면.. 1컵을 뽑기 위해 들어가는 원두는 약 7~8g 정도. 칼리타 드리퍼에 있는 흰 계량스푼이 10g인데 다갈아서 모카포트에 넣으면 조금 남는다. 추출량은 에쏘잔으로 딱 한잔 나올듯 싶다. 소주잔보다 약간 더 될듯..
모카포트 박스에 적혀있는 설명서
1. To make the coffee, fill the lower chamber with fresh cold water up to the bottom of the safety valve.
2. Place the coffee basket into the lower chamber and fill it with finely ground dark roasted coffee, using the back and edge of the spoon to eliminate any possible air pockets in the coffee and any gaps around the rim of the filter.
3. Check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ilter and the rubber ring.
4. Very firmly screw the top half of the pot keeping the bottom chamber containing the water upright. to avoid wetting the grounds too soon.
5. Place the espresso pot on a medium heat - (if using on gas, adjust the flame so that it does not extend up the side of the pot).
6. After the water boils, its stream will start to push the water up the funnel and into the coffee. once this happens immediately keep the pot off the fire.
7. Clean the coffee maker after every use only with water and wipe it.
사용 가능 열원 : gas, electric ceramic
사용 불가능 열원: induction
모카포트 사용시 주의사항 :
물은 반드시 안전밸브 밑부분까지 넣어라.(안전밸브 구멍을 넘으면 안된다)
강배전된 원두를 곱게 갈아서 사용한다.
(곱게 갈면 모카포트의 압력이 너무 높아진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부분은 경험으로 배워야 할듯.)
커피를 담을 때 빈공간이 없게 해라.(강한 탬핑은 금지.)
커피필터(윗부분)과 고무링이 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해라.(잘 껴있는지 확인)
포트를 결합시킬때 뒤집지 마라.
very firmly screw! ㅇㅋ?!( 단단히 조여라)
불은 모카포트 밑면을 벗어나게 하지마라.
추출이 시작되면 불을 꺼라.(해석을 잘못한걸까?;;;; 불을끄니 추출이 멈춰버림..)
매 사용 후 청소를 해라. (물만을 이용해서 하고, 물은 반드시 닦아서 건조.)
추출동영상을 올리고 싶지만.....
커피마루의 빠자마왕님의 동영상처럼 조용히 나오는 것이 아니라 팍팍팍팍 튀어서 촬영을 할 수없다;; 동영상에선 크레마도 나오던데......왜 난 안될까;;;
한줄평 : 신맛과 단맛이 강하고, 바디는 약하며, 독특한 향(이건 무슨 향일까...)이 있다.
파푸아뉴기니
위치 : 남태평양 남서부
수도 : 포트모르즈비(Port Moresby)
언어 : 영어
기후 : 열대성 기후(몬순 기후)
종교 : 개신교 (개신교 및 가톨릭) 90%
면적 : 46만 2840㎢
생산지 : 지형은 저지대의 습지 평야와 섬의 동부에서 서부의 인도네시아까지 펼쳐진 높은 산으로 되어 있으며, 해발 1,500~3,000m 지역에 넓은 골짜기가 자리잡고 있다. 국토의 70% 이상이 빽빽한 열대다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의 토양은 전체적으로 얕은 층을 이루고 배수가 잘되며 척박한 편이다. 그러나 비옥한 화산토와 충적토가 저지대와 외곽 섬에서 약간 발견된다.
Colombia
남아메리카대륙 북서부 끝에 자리하고 있는 공화국.
정식명칭은 콜롬비아공화국
(Repblica de Colombia).
면적 :114만 1748㎢
인구 : 4100만 8227(2002)
인구밀도 : 35.9명/㎢
수도 : 보고타
주요언어 : 에스파냐어
종교 : 가톨릭교
통화 : 페소
환율 1달러=2744.1(2002.11)
국내총생산 : 2550억 달러
-콜롬비아-
브라질 다음의 세계 제 2위의 커피 생산국으로 수세식 아라비카종으로 1위이다. 열대지방의 중앙에 위치하고, 연간 기온 15-25도로 강우량도 많고, 특히 안데스산맥의 고지표고 1100~1800미터의 지대는 연간 60만톤의 커피콩을 생산하고 품질과 공급이 가장 안정적이다.
대부분의 커피가 "카페테로'라고 불리는 농부들의 중소규모 자영 농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오히려 이러한 중소규모의 자영 농장에서 생산되었기에 그 품질이 더 우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오늘날 콜롬비아는 연간 70만톤의 커피 생산으로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12%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커피의 주 생산지인 콜롬비아 북부의 안데스 산맥 지대는 비옥한 화산재 토양,청명한 햇빛과 연중 고른 강수량, 그리고 습식가공을 가능케 하는 계곡의 풍부한 맑은 물이 있다.
해발 고도 1100~1800미터로 강우량이 많고 비옥한 고지대에서 생산하며, 물세척법으로 가공한다. 콜롬비아산 커피콩은 마일드종을 대표하며, 아름다운 청록색을 띠고 향기와 신맛, 달콤한 맛이 풍부해서 스트레이트 커피에 쓰기 알맞다.
주수확시기는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지만, 넓은 산악지대에서 재배하므로 연중 생산한다. 'MAM'은 서북부에 있는 메델린, 아르메니아, 마니잘레스에서 생산하는 커피콩으로, 전계에서 품질을 인정한다, 콜롬비아 커피는 마일드 커피의 대표격 콩으로 적당한 산미가 있고, 구수한 맛, 향기, 풍미의 균형이 좋으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메델린: 콜롬비아의 최고급품으로 알려져 있다.
- 보고타: 매델린과 나란히 1급품
- 마니잘레스: 매델린 및 보고타 다음의 콩
- 부카라망가: 농후한 커피로 평가됨
- 아르메니아: 한미가 좋다.
수출용 콩은 크기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데 screen#17이상은 수프리모(supremo), screen#14~16은 엑셀소(excelso)로 구분한다. 수프레모는 주로 스페셜리티커피에 쓰는 최고급이며, 엑셀소는 수출용표준 등급이고, 하급품은 수출하지 않는다.
"나폴리에서는 거의 모든 바에서 '레버리지(leverage·지레)'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합니다. '피스톤(piston)' 방식 머신이라 부르기도 하죠. 지레를 잡아당기면 머신 속 압력이 25기압까지 급속하게 올라갔다가 차츰 떨어지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다루기 힘들지만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보다 훨씬 좋은 맛이 납니다." -일리카페(illycafe) 안드레아 일리 회장
댓글을 달아 주세요